본문 바로가기
은둔자의귀농생활

농지취득-(4)농지 취득세 신고하기-군청방문

by eundungosu 2025. 1. 20.
반응형

취득세신고하기

ㅇ취득세란?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일정 비율에 따라 과세되는 구조이다. 농지를 포함한 모든 부동산 거래 시 이 세금은 필수적으로 신고하고 납부해야 한다.


ㅇ취득세 적용기준 및 계산법

취득 원인 농지원부 취득세 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 합계
상속(무상) 없음 2.3% 0.2% 0.06% 2.56%
상속(유상) 있음 1.15% 비과세 0.03% 1.18%
증여(무상) 없음 3.5% 0.2% 0.3% 4.0%
증여(유상) 있음 1.75% 비과세 0.15% 1.9%
매매(유상) 없음 3.0% 0.2% 0.2% 3.4%
매매(유상) 있음 1.5% 비과세 0.1% 1.6%

 

예를 들어 농지매매가격이 1000만원이고, 농지원부가 있는경우 납부할 취득세는 총 160,000이 된다.

- 취득세 : 10,000,000 X 0.015 =  150,000원

- 농어촌특별세 : 면제

- 지방교육세 : 10,000,000 X 0.001 = 10,000원

 

단, 농지내에 농사를 제외한 다른 용도로 사용중인 토지가 있다면 해당 면적만큼 농지매매세률이 아닌 각 용도에 맞는 세율이 적용된다는 사실. 즉, 매매용 밭100제곱미터에 묘지가 50제곱미터를 차지하고 있다면 50제곱미터는 농시 취득세율을 적용, 나머지 50제곱미터는 묘지 취득세율을 적용한다는 점이다. 물론 자경농민 취득세 감면 혜택또한 묘지부분은 제외된다. 이점 유의해야 세금을 절감할 수 있다. 


ㅇ세금신고

농지를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소재지 구청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며, 상속인 경우에는 6개월 이내에 신고와 납부를 해야 한다.

 

1. 군청을 방문하여 취득세신고 창구를 찾아간다.
2. 구비서류를 담당자에게 제출한다.
   - 계약서 사본
   - 농업경영체등록증
   - 토지대장
   - 신분증사본
   - 부동산거래신고필증(부동산거래신고시 나오는 문서)

   - 취득세감면신청서

   - 소득금액증명원

 

o 취득세 신고서 작성법

취득세신고서.hwp
0.08MB

 

먼저 취득세신고서 양식은 각 군청 사이트에서 공유되고 있으며 군청내 취득세 신고 창구에도 구비되어 있다. 나는 컴퓨터로 작성하는 것이 편해서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 미리 작성해 가는 편이다.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군청담당자의 안내에 따라 신청서를 작성하면 취득세에 관한 정보가 기입된 납부용지를 받는다. 이를 은행에 가서 납부하면 납부 영수증을 받는다. (*** 중요. 등기신청시 반드시 첨부해야 하므로 잘 챙겨야 한다.)

 

ㅇ취득세 영수필증 챙기기

세금 감면 신청을 하지 않는 경우 취득세고지서를 가지고 은행에 납부하면 취득세 영수필증을 받을 수 있다.
등기신청시 필요한 서류이므로 잘 챙기자

 

농지매매 취득세 감면신청을 해야 한다면 다음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728x90
반응형